이중화 리소스를 구성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 서버 간 heartbeat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아래의 버전에서 테스트한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Linux : Red Hat Enterprise Linux release 8.5
Lifekeeper : LifeKeeper for Linux 9.6.1
1. Lifekeeper heartbeat(commpath) 설정
Active – Standby 형태로 서버를 이중화하기 위해선 서버 간 통신 경로가 확보되어야 합니다.
Active – Standby 간 통신 경로를 이중화 용어로 “heartbeat” 이라고 하며, Lifekeeper 에서는 “commpath”(Communication Path) 라고 합니다. 앞으로의 설명은 commpath 로 지칭하여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Lifekeeper 에서는 최소 2개 이상의 commpath 설정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1개만 설정하여도 구성은 가능하지만 운영 시 안정성 확보를 위해 2개 이상 설정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서버 간 2개의 네트워크 통신 경로를 확보한 후 Lifekeeper GUI를 통해 commpath 설정을 진행합니다.
Lifekeeper GUI 연결에 대한 정보는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2.09.15 - [IT/lifekeeper] - Lifekeeper for Linux 이중화 설정 - GUI 연결
Lifekeeper GUI에서 상단 메뉴 중 Create Comm Path를 선택합니다.
Local Server를 선택하고 Next 버튼을 클릭합니다.
Remote Server를 선택하고 Next 버튼을 클릭합니다.
생성할 Comm Path의 Device Type을 선택하고 Next 버튼을 클릭합니다.
IP 기반의 경우 TCP를 선택합니다.
첫 번째로 생성할 Comm Path의 Local IP를 선택하고 Next 버튼을 클릭합니다.
일반적으로 서버의 Service 대역 IP를 선택합니다.
Remote IP를 선택하고 Next 버튼을 클릭합니다.
Local IP로 선택한 대역의 2번 서버 IP가 자동으로 선택됩니다.
생성할 Comm Path의 우선순위를 선택합니다.
첫 번째 Comm Path의 경우 1을 선택하고 Next 버튼을 클릭합니다.
설정한 정보로 1, 2번 서버 간 Comm Path가 생성됩니다.
내용을 확인 후 Next 버튼을 클릭합니다.
Done 버튼을 클릭하여 생성 단계를 마칩니다.
첫 번째 Comm Path가 생성된 후 서버 아이콘에 느낌표 표시가 나타납니다.
Lifekeeper는 2개 이상의 Comm Path를 권고하기 때문에 Comm Path가 1개만 생성된 경우,
또는 생성된 Comm Path 중 통신장애로 통신이 안 되는 네트워크가 발생한 경우, 느낌표 표시로 경고 표시를 해줍니다.
지금까지의 Comm Path 생성 방법을 반복하여 두 번째 네트워크 대역도 Comm Path를 생성해줍니다.
Comm Path가 2개 이상 생성되고 모두 정상적으로 통신되는 것이 확인되면 서버 아이콘은 정상적으로 표시가 됩니다.
서버 아이콘에서 우 클릭하여 표시되는 하위 메뉴 중 Properties 를 선택하고 표시되는 정보에서
CommPaths 탭을 선택하면 생성된 Comm Path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State 정보가 ALIVE 이면 통신이 정상적인 상태이며, 통인이 안될 경우 DEAD 로 표시됩니다.
Linux 의 CLI 창에서 “lcdstatus -q” 를 수행하면 동일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lcdstatus -q
지금까지의 과정으로 Lifekeeper에서 서버 간 Comm Path(heartbeat)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Lifekeeper GUI 환경에서 VIP 리소스 설정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IT > lifekeep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fekeeper for Linux 이중화 설정 – VIP 설정2 (0) | 2022.09.17 |
---|---|
Lifekeeper for Linux 이중화 설정 – VIP 설정1 (0) | 2022.09.17 |
Lifekeeper for Linux 이중화 설정 - GUI 연결 (0) | 2022.09.15 |
Linux 서버에 lifekeeper (HA 서버이중화) 설치하기3 – 환경설정 및 기동하기 (0) | 2022.09.14 |
Linux 서버에 lifekeeper (HA 서버이중화) 설치하기2 - install (0) | 2022.09.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