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linux

Redhat Linux 8 locale 변경하기

by 방구석꼰머 2022. 9. 24.
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Linux 8 서버에서  locale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아래의 버전에서 테스트한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Linux : Red Hat Enterprise Linux release 8.5

Lifekeeper : LifeKeeper for Linux 9.6.1


 

 

1. Linux locale 설정 변경하기

먼저 현재 서버에 설정된 locale을 확인해보겠습니다.

# locale

# locale
LANG=ko_KR.utf8
LC_CTYPE="ko_KR.utf8"
LC_NUMERIC="ko_KR.utf8"
LC_TIME="ko_KR.utf8"
LC_COLLATE="ko_KR.utf8"
LC_MONETARY="ko_KR.utf8"
LC_MESSAGES="ko_KR.utf8"
LC_PAPER="ko_KR.utf8"
LC_NAME="ko_KR.utf8"
LC_ADDRESS="ko_KR.utf8"
LC_TELEPHONE="ko_KR.utf8"
LC_MEASUREMENT="ko_KR.utf8"
LC_IDENTIFICATION="ko_KR.utf8"
LC_ALL=

 

또는 localectl 명령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localectl status

# localectl status
   System Locale: LANG=ko_KR.utf8
       VC Keymap: us
      X11 Layout: us

현재의 locale 은 ko_KR.utf8 으로 설정된 상태입니다.

 

 

반응형

 

 

locale을 변경하기 위해 먼저 지원 가능한 list를 확인합니다.

# localectl list-locales

# localectl list-locales
C.utf8
en_AG
en_AU
en_AU.utf8
...
en_US
en_US.iso885915
en_US.utf8
en_ZA
en_ZA.utf8
en_ZM
en_ZW
en_ZW.utf8
ko_KR.euckr
ko_KR.utf8

영어로 변경하기 위해  en_US.utf8 로 변경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locale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명령을 수행합니다.

# localectl set-locale en_US.utf8

 

변경된 내용을 확인합니다.

# localectl status

# localectl status
   System Locale: LANG=en_US.utf8
       VC Keymap: us
      X11 Layout: us

 

locale 명령으로도 확인해봅니다.

# locale

# locale
LANG=ko_KR.utf8
LC_CTYPE="ko_KR.utf8"
LC_NUMERIC="ko_KR.utf8"
LC_TIME="ko_KR.utf8"
LC_COLLATE="ko_KR.utf8"
LC_MONETARY="ko_KR.utf8"
LC_MESSAGES="ko_KR.utf8"
LC_PAPER="ko_KR.utf8"
LC_NAME="ko_KR.utf8"
LC_ADDRESS="ko_KR.utf8"
LC_TELEPHONE="ko_KR.utf8"
LC_MEASUREMENT="ko_KR.utf8"
LC_IDENTIFICATION="ko_KR.utf8"
LC_ALL=

locale 명령으로 확인하면 변경 전 설정값이 표시됩니다.

기존 값이 표시되는 이유는 localectl set-locale 명령으로 설정을 변경하여도 연결된 세션은 기존 값을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세션 연결을 끊고 재연결을 하면 변경한 locale로 표시가 됩니다.

세션 재연결후 변경된 locale
locale

 

지금까지의 Linux 서버에서 locale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