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lifekeeper

Linux 서버에 lifekeeper (HA 서버이중화) 설치하기1 - 사전작업

by 방구석꼰머 2022. 9. 12.
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Linux 서버에 구동되는 DB, 애플리케이션 등을 이중화할 수 있는 Lifekeeper 이중화 소프트웨어를 Linux 서버에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아래의 버전에서 테스트한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Linux : Red Hat Enterprise Linux release 8.5

Lifekeeper : LifeKeeper for Linux 9.6.1

 

 


1. Lifekeeper 사전 설치 요구사항 설정하기

LifekeeperLinux 서버에 설치하기 전에 Lifekeeper에서 설치 시 요구하는 항목에 대해 먼저 설정을 해야 합니다.

 

selinux disabled mode 로 변경하기

Lifekeeperselinuxdisabled 되어 있어야 패키지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selinuxdisabled mode 로 변경해줍니다.

sestatus
selinux disabled

아래의 링크에서 selinux mode 변경방법에 대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justdaily.tistory.com/9

 

Linux selinux 끄기

Linux 서버를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selinux는 ON(enforcing) 상태입니다. enforcing 상태는 보안이 적용된 상태이지만 대체로 여러 프로그램들의 요구사항에 의해 selinux를 비활성화하는 작업이 필요합니

justdaily.tistory.com

 

Lifekeeper 사용포트IP 허용하기

Linux firewalld를 사용할 경우 Lifekeeper 사용포트를 허용하거나 또는 상대 nodeIP를 허용합니다.

Lifekeeper 사용포트

TCP : 81,82,778,779,7365,10000-11000

ICMP : 허용

Lifekeeper 사용포트 허용
Lifekeeper 사용포트 허용

상대 node의 IP를 허용할 경우 rich rules 로 상대 node의 IP를 허용해줍니다.

 

 

아래의 링크에서 linux firewalld 포트 허용 방법에 대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justdaily.tistory.com/10

 

Linux firewalld 포트 허용 설정하기

Linux에서는 firewalld 라는 방화벽을 기본으로 제공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Linux의 firewalld 사용시 특정 포트를 허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Red Hat Enterprise Linux rel

justdaily.tistory.com

 

아래의 링크에서 linux firewalld IP 허용방법에 대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justdaily.tistory.com/11

 

Linux firewalld IP 허용 설정하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포트 허용 방법에 이어서 Linux의 firewalld 사용시 특정 IP를 허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Red Hat Enterprise Linux release 8.5 에서 테스트한 내용을 기반

justdaily.tistory.com

 

yum repository 설정하기

Lifekeeper는 패키지 설치 시 Lifekeeper에서 필요로 하는 linux 필수 패키지를 yum install 명령으로 설치를 먼저 진행하고 Lifekeeper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따라서 yum install 명령으로 linux 패키지 설치가 가능해야만 Lifekeeper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링크에서 yum repository 설정방법에 대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justdaily.tistory.com/4

 

Redhat Linux 8 서버에 local yum repository 설정하기

Linux 서버를 설치 후 설치 과정에서 설치하지 않은 linux rpm 패키지를 설치해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Redhat linux의 경우 subscription을 등록해야만 yum 명령을 통해 rpm 패키지를 인스톨할 수 있기 때문

justdaily.tistory.com

 

반응형

 

node 간 추가 network 연결

Lifekeeper에서는 기본 network 외에 node 간 추가 network 연결이 필요합니다.

server1 ip
server1 IP

 

server2 ip
server2 IP

 

복제 볼륨 구성을 위한 별도의 disk 할당

Lifekeeper에서는 볼륨을 복제하여 동기화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해당 기능을 사용하여 스토리지 볼륨이 없는 경우에도 서버 간 local disk를 동기화하여

볼륨을 이중화 구성할 수 있습니다. 볼륨을 복제하기 위해서는 각 서버에 동일 사이즈의 볼륨을 할당해야 합니다.

복제볼륨용 disk 추가
복제볼륨으로 구성할 disk를 동일 사이즈로 추가

 

복제볼륨용 disk 추가
복제볼륨으로 구성할 disk를 동일 사이즈로 추가

 

 

raid-check 비활성화

Lifekeeper 설치시 영향을 주는 항목은 아니지만 복제 볼륨을 구성할 경우 차후 raid check 로 인한 해당 볼륨의 I/O를 증가시키게 되므로 해당 항목을 비활성화합니다.

/etc/sysconfig/raid-check 있는 경우 , 해당파일에서 ENABLED= 항목을 no 변경합니다.

raid-check 비활성
raid-check 비활성

 

hosts 파일 작성

각 서버의 /etc/hosts 파일에 각서버의 정보를 기입합니다.

hosts 파일 내용 수정
각서버의 정보를 hosts 파일에 기입

 

이번 포스팅은 여기까지 입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Lifekeeper의 설치 과정에 대해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