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Redhat linux 8 서버에서 lvm 볼륨을 만들고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여 볼륨을 마운트 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아래의 버전에서 테스트한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Linux : Red Hat Enterprise Linux release 8.6
개요
1. Physical volume (PV) 생성
2. Volume group (VG) 생성
3. Logical volume (LV) 생성
4. 파일시스템 생성 및 마운트
1. Physical volume (PV) 생성
LV 를 만드는 과정은 PV 생성 > VG 생성 > LV 생성 순으로 진행됩니다.
PV를 생성하기 전에 서버의 disk 정보를 먼저 확인합니다.
# fdisk -l
# fdisk -l
Disk /dev/nvme0n1: 30 GiB, 32212254720 bytes, 62914560 sectors
Units: sectors of 1 * 512 = 512 bytes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 bytes / 512 bytes
I/O size (minimum/optimal): 512 bytes / 512 bytes
Disklabel type: dos
Disk identifier: 0x1f655de7
Device Boot Start End Sectors Size Id Type
/dev/nvme0n1p1 * 2048 616447 614400 300M 83 Linux
/dev/nvme0n1p2 616448 4863999 4247552 2G 82 Linux swap / Solaris
/dev/nvme0n1p3 4864000 62914559 58050560 27.7G 83 Linux
Disk /dev/nvme0n2: 15 GiB, 16106127360 bytes, 31457280 sectors
Units: sectors of 1 * 512 = 512 bytes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 bytes / 512 bytes
I/O size (minimum/optimal): 512 bytes / 512 bytes
/dev/nvme0n2 disk를 이용하여 PV 생성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pvcreate 명령어로 생성할 disk를 지정하여 PV를 생성합니다.
# pvcreate /dev/nvme0n2
# pvcreate /dev/nvme0n2
Physical volume "/dev/nvme0n2" successfully created.
생성된 PV 정보를 확인합니다.
PV 정보 조회의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2.10.12 - [IT/linux] - LVM PV attr 정보 조회
LVM PV attr 정보 조회
이번 포스팅에서는 Linux 서버 LVM 에서 PV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pvs” 명령어와 관련 pv 정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아래의 버전에서 테스트한 내용을 기반으로
justdaily.tistory.com
# pvs
# pvs
PV VG Fmt Attr PSize PFree
/dev/nvme0n2 lvm2 --- 15.00g 15.00g
/dev/nvme0n2 disk 가 PV로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Volume group (VG) 생성
vgcreate 명령어로 생성할 VG 이름과 VG에 할당할 PV를 지정하여 VG를 생성합니다.
# vgcreate testvg /dev/nvme0n2
# vgcreate testvg /dev/nvme0n2
Volume group "testvg" successfully created
생성된 VG 정보를 확인합니다.
VG 정보 조회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2.10.14 - [IT/linux] - Linux LVM VG attr 정보 조회
Linux LVM VG attr 정보 조회
이번 포스팅에서는 Linux 서버 LVM에서VG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vgs” 명령어와 관련 vg 정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아래의 버전에서 테스트한 내용을 기반으로
justdaily.tistory.com
# vgs
# vgs
VG #PV #LV #SN Attr VSize VFree
testvg 1 0 0 wz--n- <15.00g <15.00g
testvg 란 이름으로 VG 가 생성되었으며 지정한 PV의 용량이 해당 VG에 할당되었습니다.
3. Logical volume (LV) 생성
lvcreate 명령어에 “-n” 옵션으로 생성할 LV 이름을 지정, “-L” 옵션으로 LV에 할당할 용량을 지정하고 마지막으로 LV를 생성할 VG를 지정하여 LV를 생성합니다.
# lvcreate -n testlv -L 5G testvg
# lvcreate -n testlv -L 5G testvg
Logical volume "testlv" created.
testvg의 총 15G 용량 중 5G를 할당하여 testlv 란 이름으로 LV를 생성하였습니다.
“-L 사이즈 지정” 방식 외에 “-l +100%FREE”를 사용하면 VG의 남은 용량을 모두 할당하여 LV를 만들 수 있습니다.
# lvcreate -n testlv2 -l +100%FREE testvg
# lvcreate -n testlv2 -l +100%FREE testvg
Logical volume "testlv2" created.
testvg의 남은 용량을 모두 할당하여 testlv2를 생성하였습니다.
생성된 LV 정보를 확인합니다.
LV 정보조회의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2.10.18 - [IT/linux] - Linux LVM LV attr 정보 조회
Linux LVM LV attr 정보 조회
이번 포스팅에서는 Linux 서버 LVM에서 LV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lvs” 명령어와 관련 lv 정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아래의 버전에서 테스트한 내용을 기반으로
justdaily.tistory.com
# lvs
# lvs
LV VG Attr LSize Pool Origin Data% Meta% Move Log Cpy%Sync Convert
testlv testvg -wi-a----- 5.00g
testlv2 testvg -wi-a----- <10.00g
위 과정에서 생성한 LV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파일 시스템 생성 및 마운트
생성한 LV를 xfs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하여 /data 로 마운트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xfs 파일시스템 생성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2.10.18 - [IT/linux] - Linux xfs 파일시스템 생성방법
Linux xfs 파일시스템 생성방법
Linux 서버에서 disk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disk 또는 lv를 사용하기 위한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을 해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linux 서버에서 disk를 xfs 파일시스템으로 포맷하는 방법에 대해 알
justdaily.tistory.com
지금까지 Redhat 8 linux 에서 LVM 생성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IT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LVM VG attr 정보 조회 (0) | 2022.10.14 |
---|---|
LVM PV attr 정보 조회 (0) | 2022.10.12 |
Redhat Linux 8.6 ifup ifdown 사용하기 (0) | 2022.10.03 |
Redhat Linux 8 bonding 구성 (0) | 2022.10.01 |
Redhat Linux 8 nmtui ip 설정 (0) | 2022.09.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