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lifekeeper

Lifekeeper heartbeat 체크 주기 변경방법

by 방구석꼰머 2022. 10. 5.
반응형

Lifekeeper heartbeat의 통신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Active – Standby 서버 간 통신상태의 이상 유무를 확인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Lifekeeperheartbeat 체크 주기 값을 확인하고 변경 및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아래의 버전에서 테스트한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Linux : Red Hat Enterprise Linux release 8.5 
Lifekeeper : LifeKeeper for Linux 9.6.1

개요
1. Lifekeeper heartbeat 체크 주기 확인
2. Lifekeeper heartbeat 체크 주기 변경
3. Lifekeeper heartbeat 체크 주기 변경 값 적용

1. Lifekeeper heartbeat 체크 주기 확인

Lifekeeper에서 heartbeat 체크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는 “LCMHBEATTIME” 과 “LCMNUMHBEATS” 이 있습니다.

  • LCMHBEATTIME : heartbeat 을 체크하는 interval 을 의미하며 기본값은 5 (초) 입니다.
  • LCMNUMHBEATS : heartbeat 장애를 판단하는 최대 체크 횟수를 의미하며 기본값은 3 (횟수) 입니다.

위의 의미를 요약하면 Lifekeeper는 5초 주기로 heartbeat 통신 상태를 체크하며 장애로 판단된 횟수가 연속 3회 체크에 (15초 이상 통신장애) 도달하면 최종적으로 heartbeat 장애로 판단합니다.

 

다만, 예를 들어 서버 간 10초 정도의 네트워크 단절이 발생했을 경우 5초마다 통신장애를 체크하여 2회의 체크 장애를 카운트 하지만 3회째 체크 시 통신이 정상일 경우 정상으로 간주하며 통신장애 카운트는 초기화합니다. 즉 설정한 체크 주기 이내의 통신 단절의 경우에 대해서는 정상 통신상태로 간주합니다.

 

위의 해당 파라미터는 Lifekeeper 설치 시 내부적으로 기본값으로 설정되며, 파라미터를 정의해 놓은 “/etc/default/LifeKeeper” 파일에 해당 파라미터는 정의되어 있지 않습니다.

 

 

2. Lifekeeper heartbeat 체크 주기 변경

Heartbeat 체크 주기 변경 방법

“LCMHBEATTIME”“LCMNUMHBEATS” 파라미터를 직접 “/etc/default/LifeKeeper” 파일에 추가하여 Lifekeeper의 heartbeat 체크 주기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heartbeat 체크 interval 을 10초 heartbeat 체크 횟수를 6회로 변경하자고 할 경우 아래의 내용을 “/etc/default/LifeKeeper” 파일에 추가하면 됩니다.

LCMHBEATTIME=10
LCMNUMHBEATS=6

 

위와 같이 설정할 경우 1분 이상 네트워크 단절이 발생할 경우에만 heartbeat 장애로 판단합니다.

heartbeat check log
heartbeat check log

 

반응형

 

Heartbeat 체크 주기 최소값 과 최대값

“LCMHBEATTIME” 파라미터에 설정할 수 있는 최소값은 1이며, 최대치 제한은 없습니다.

“LCMNUMHBEATS” 파라미터에 설정할 수 있는 최소값은 2이며, 최대치 제한은 없습니다.

 

Heartbeat 체크 주기 변경 시 고려사항

Heartbeat 체크 주기 변경은 네트워크의 안정성 상태를 고려하여 변경해야 합니다. 해당 값을 짧게 설정하면 그만큼 네트워크 장애 상태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지만, 오히려 너무 짧게 설정한 상태에서 네트워크의 상태가 불안정할 경우 짧은 네트워크 단절을 장애로 판단하여 의도치 않은 failover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너무 길게 설정할 경우 장애로 판단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장애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failover를 하기 위한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Heartbeat 체크 주기 모든 NODE에 동일하게 설정

Heartbeat 체크 주기는 모든 node에 동일한 값을 설정해야 합니다.

 

3. Lifekeeper heartbeat 체크 주기 변경 값 적용

변경한 heartbeat 체크 파라미터 값을 적용하려면 모든 node에서 Lifekeeper 데몬을 먼저 중지 후 다시 기동하여 적용합니다.

Lifekeeper 기동 정지방법은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2.09.29 - [IT/lifekeeper] - Lifekeeper 중지 기동 방법

 

Lifekeeper 중지 기동 방법

이번 포스팅에서는 Lifekeeper로 이중화 구성된 시스템에서 lifekeeper를 중지하는 “lkstop” 명령과 기동 하는“lkstart” 명령어의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아래의 버전

justdaily.tistory.com

 

지금까지 Lifekeeper의 heartbeat 체크 주기 변경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