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lifekeeper

Lifekeeper 리소스 체크 주기 변경방법

by 방구석꼰머 2022. 10. 2.
반응형

Lifekeeper는 설정된 리소스 체크 주기에 의해 주기적으로 등록된 리소스의 헬스 체크를 진행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Lifekeeper에 설정된 리소스 체크 주기 값을 확인하고 변경 및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아래의 버전에서 테스트한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Linux : Red Hat Enterprise Linux release 8.5 
Lifekeeper : LifeKeeper for Linux 9.6.1

개요
1. Lifekeeper 리소스 체크주기 확인
2. Lifekeeper 리소스 체크주기 변경
3. Lifekeeper 리소스 체크주기 변경 값 적용

 

1. Lifekeeper 리소스 체크 주기 확인

Lifekeeper에서 사용되는 파라미터는 “/etc/default/LifeKeeper” 파일에 설정되어 있으며, 리소스 체크 주기는 해당 파일에 “LKCHECKINTERVAL” 파라메터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etc/default/LifeKeeper 파일에서 현재 설정된 LKCHECKINTERVAL 값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 cat /etc/default/LifeKeeper | grep LKCHECKINTERVAL= -A 2

# cat /etc/default/LifeKeeper | grep LKCHECKINTERVAL= -A 2
LKCHECKINTERVAL=120  # Application health monitoring wait time (in seconds)
                # between checks. Set to zero to disable health monitoring.

 

현재 LKCHECKINTERVAL 파라미터에 설정된 값은 120이며 단위는 “seconds” 입니다. Lifekeeper의 LKCHECKINTERVAL 기본값은 120초로 설정됩니다.

 

2. Lifekeeper 리소스 체크 주기 변경

리소스 체크 주기 변경 방법

Lifekeeper의 리소스 체크 주기를 변경하기 위해선 /etc/default/LifeKeeper 파일에서 LKCHECKINTERVAL 파라미터의 값을 초단위로 직접 수정합니다. 1분마다 리소스 헬스 체크가 진행되도록 하려면 해당 값을 "60"으로 변경하면 됩니다.

 

체크 주기 변경 시 고려사항

리소스 체크 주기는 Lifekeeper에 등록된 모든 리소스의 헬스 체크에 걸리는 시간을 고려하여 정해야 합니다. 모든 리소스의 헬스 체크에 걸리는 시간보다 체크 주기를 작게 설정해서는 안됩니다. 실제 리소스 헬스 체크 시간보다 체크 주기가 짧게 설정된 경우 Lifekeeper log 파일에 설정된 체크 주기가 짧다는 경고 메시지가 기록됩니다. 또한 체크 주기가 실제 체크 시간보다 짧은 경우, Lifekeeper가 리소스 체크를 진행하다 다음 체크를 위해 진행하던 리소스 체크를 종료하게 되므로 정상적인 리소스 헬스 체크를 진행할 수 없습니다.

 

리소스 헬스 체크 정지

리소스의 헬스 체크를 정지하려면 LKCHECKINTERVAL 파라미터를 “0”으로 설정하면 리소스 헬스 체크가 중단됩니다.

 

모든 NODE에 동일하게 설정

체크 주기는 모든 node에 동일한 값을 설정해야 합니다.

 

반응형

 

3. Lifekeeper 리소스 체크 주기 변경 값 적용

변경값 적용을 위해 아래의 2가지 방법중 한가지 방법을 선택하여 진행하면 됩니다.

 

Lifekeeper 데몬 재시작

변경한 LKCHECKINTERVAL 값을 적용하려면 Lifekeeper 데몬을 중지 후 다시 기동하여 적용합니다.

Lifekeeper 기동 정지방법은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2.09.29 - [IT/lifekeeper] - Lifekeeper 중지 기동 방법

 

Lifekeeper 중지 기동 방법

이번 포스팅에서는 Lifekeeper로 이중화 구성된 시스템에서 lifekeeper를 중지하는 “lkstop” 명령과 기동 하는“lkstart” 명령어의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아래의 버전

justdaily.tistory.com

 

lkcheck 프로세스 재시작

lkcheck 프로세스를 kill 하면 변경된 LKCHECKINTERVAL 값으로 프로세스 가 자동으로 재시작됩니다.

lkcheck 프로세스
lkcheck 프로세스 재시작

 

지금까지 Lifekeeper의 리소스 헬스 체크 주기 변경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