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Lifekeeper로 이중화 구성된 시스템에서 lifekeeper를 중지하는 “lkstop” 명령과 기동 하는“lkstart” 명령어의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아래의 버전에서 테스트한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Linux : Red Hat Enterprise Linux release 8.5
Lifekeeper : LifeKeeper for Linux 9.6.1
1. Lifekeeper 중지 명령어 lkstop 사용방법
이중화 클러스터를 운영하다 보면 작업, 점검 등으로 인해 클러스터를 중지해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Lifekeeper는 클러스터를 중지해야 할 경우 상황에 따른 여러 가지 중지 옵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lkstop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ifekeeper 클러스터를 중지하는 “lkstop” 명령어 형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 lkstop [-f|-i|-n|-r]
각 옵션은 아래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 “옵션 없이 수행할 경우” : 클러스터 데몬과, 리소스(이중화로 lifekeeper 에 등록된 서비스)를 모두 중지하며, Standby서버로 Failover 하지 않습니다. systemctl disable lifekeeper 명령이 수행되어 OS 가 재 시작되면 Lifekeeper가 자동으로 기동 되지 않습니다.
- “-f” : 리소스는 중지하지 않고 클러스터 데몬만 중지되며, Standby서버로 Failover 하지 않습니다. systemctl disable lifekeeper 명령이 수행되어 OS 가 재 시작되면 Lifekeeper가 자동으로 기동되지 않습니다.
- “-i” : “-f” 옵션과 동일하게 작동하며, 진행 시 사용자 확인 과정이 수행됩니다.
- “-r” : 리소스는 중지하지 않고 클러스터 데몬만 중지되며, Standby서버로 Failover 하지 않습니다. systemctl disable lifekeeper 명령을 수행하지 않아 OS 가 재 시작되면 Lifekeeper가 자동으로 기동 됩니다.
- “-n” : shutdown failover 정책을 설정하지 않은 경우, 옵션 없이 수행한 것과 동일하게 수행하지만, shutdown failover 정책이 설정된 경우는 OS 가 재 시작될 때 Standby 서버로 Failover를 진행합니다. “-n” 옵션은 “-r” 또는 “-f” 옵션과 함께 사용할 수 없습니다. (shutdown failover 정책은 차후에 다룰 예정입니다.)
2. Lifekeeper 기동 명령어 lkstart 사용방법
Lifekeeper 기동 명령어는 “lkstart” 이며, 옵션은 없습니다. lkstop 과정에서 어떠한 옵션을 통해 종료가 되었든 상관없이 lkstart 명령만으로 기동 됩니다. 기동 과정에서 리소스가 중지되어(lkstop 으로 중지된 경우) 있다면 리소스를 기동 시키고, 이미 기동 상태 라면(lkstop -f로 중지된 경우) 리소스의 상태만 체크하고 기동 과정을 skip 합니다.
종료 과정에서 systemctl disable lifekeeper 된 경우, systemctl enable lifekeeper 명령이 lkstart 과정에서 함께 수행됩니다.
지금까지 Lifekeeper 클러스터를 중지하는 lkstop 명령과 기동 하는 lkstart 명령어의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IT > lifekeep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fekeeper 클러스터 shutdown failover 정책 설정하기 (0) | 2022.10.04 |
---|---|
Lifekeeper 리소스 체크 주기 변경방법 (0) | 2022.10.02 |
Lifekeeper failover 명령 perform_action (1) | 2022.09.27 |
Lifekeeper 복제볼륨 동기화 상태 확인하기 mirror_status (0) | 2022.09.25 |
Lifekeeper 클러스터 상태 확인하기 lcdstatus (0) | 2022.09.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