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Lifekeeper로 구성된 복제볼륨 리소스의 동기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mirror_status” 명령어의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아래의 버전에서 테스트한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Linux : Red Hat Enterprise Linux release 8.5
Lifekeeper : LifeKeeper for Linux 9.6.1
1. 복제볼륨 동기화 상태 확인하기 mirror_status
복제 볼륨을 구성하여 이중화한 시스템은 복제 볼륨의 동기화 상태가 정상적으로 되고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복제볼륨으로 구성한 볼륨이 Active 서버에서 Standby 서버로 동기화가 진행되고 있지 않는 상황에서, 만약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 Lifekeeper는 Standby 서버로 정상적인 Failover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동기화가 안된 볼륨을 mount 하고 DB 등의 서비스를 기동 하였을 경우 데이터 유실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위와 같은 이유로 동기화 상태가 정상적인지 시스템에서 틈틈이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복제볼륨의 동기화 상태를 조회하는 “mirror_status” 명령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명령어 형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mirror_status [--update] <tag or md_number>
mirror_status 명령을 사용하려면 복제볼륨 리소스의 tag 또는 md번호를 알아야 합니다.
“lcdstatus -q” 를 수행하여 복제볼륨 리소스의 tag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 lcdstatus -q
TAG 필드 부분의 datarep-data 가 복제볼륨 리소스의 tag 입니다.
datarep로 시작하는 tag가 복제볼륨 리소스의 tag 이며 뒤에 “-data”는 동기화하는 경로의 최종 디렉터리 명입니다.
“df” 를 수행하여 복제볼륨 리소스의 md 번호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복제볼륨 경로로 지정된 /data 의 디스크 정보를 확인해보면 /dev/md0 입니다.
md 뒤에 붙은 “0” 이 /data 복제볼륨 리소스의 md 번호입니다.
확인된 정보로 동기화 상태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 mirror_status datarep-data
또는
# mirror_status 0
- server1 -> server2 (200.200.200.20) : 동기화 방향 및 네트워크를 표시합니다.
- Status : Fully Operational : 100% 동기화 상태입니다.
- Type: Synchronous : 동기화 타입입니다.
- Bitmap : 해당 볼륨의 블록 개수입니다. 볼륨 사이즈에 따라 달라집니다.
- dirty : 동기화 중이거나 아직 동기화가 안된 블록의 개수입니다.
mirror_status <tag> 형식은 Active , Standby 서버 모두 사용 가능하지만,
mirror_status <md_number> 형식은 Active 서버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update” 옵션을 사용하면 2초마다 정보를 자동으로 갱신하여 표시합니다.
지금까지 Lifekeeper 복제볼륨 리소스의 동기화 정보를 조회하는 “mirror_status” 명령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IT > lifekeep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fekeeper 중지 기동 방법 (0) | 2022.09.29 |
---|---|
Lifekeeper failover 명령 perform_action (1) | 2022.09.27 |
Lifekeeper 클러스터 상태 확인하기 lcdstatus (0) | 2022.09.23 |
Lifekeeper 이중화 리소스 의존성 설정하기 (0) | 2022.09.22 |
Lifekeeper for Linux postgresql DB 이중화 구성하기2 (0) | 2022.09.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