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inux를 설치하면서 hostname 설정을 하지 않았다면 기본으로 localhost로 설정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Linux 서버에서 hostname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hostnamectl 로 hostname 변경하기
hostnamectl 명령을 수행하면 현재 설정된 hostname정보 확인이 가능합니다.
# hostnamectl
hostnamectl set-hostname 명령을 통해서 변경하고자 하는 hostname으로 변경합니다.
# hostnamectl set-hostname server1
변경된 hostname의 정보는 /etc/hostname 파일에 기록됩니다.
# cat /etc/hostname
반응형
2. “--static” 옵션으로 hostname 대문자로 설정하기
hostname을 대문자로 해야 하는 경우는 static 옵션을 사용하여 변경합니다.
# hostnamectl set-hostname --static SERVER1
이번 포스팅은 여기까지 입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IT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timezone 변경하기 (0) | 2022.09.07 |
---|---|
Linux 볼륨타입 GPT(GUID 파티션 테이블)로 변경하기 (0) | 2022.09.06 |
VMware Linux Disk 추가하기 (0) | 2022.09.05 |
Redhat Linux 8 서버에 local yum repository 설정하기 (0) | 2022.09.05 |
VMware Linux NIC 추가하기 (0) | 2022.09.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