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64

Lifekeeper for Linux postgresql DB 이중화 구성하기1 이번 포스팅에서는 Linux 서버에 설치된 postgresql DB를, Lifekeeper를 통해 이중화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ostgresql DB는 1,2번 서버에 동일 버전 및 동일한 설정으로 설치되어 있어야 하며, PGDATA 경로는 공유 또는 복제볼륨 경로로 지정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 포스팅은 Lifekeeper의 복제볼륨으로 구성된 /data 하위의 /data/pgsql 경로로 PGDATA를 설정하고 진행하였습니다. 아래의 링크에서 postgresql DB의 설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2.09.11 - [IT/linux] - Linux 서버에 postgresql DB 설치하기 Linux 서버에 postgresql DB 설치하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Linux 서버에.. 2022. 9. 20.
Lifekeeper for Linux 이중화 설정 – 복제볼륨 (Disk replication) 설정2 Lifekeeper for Linux 이중화 설정 – 복제볼륨 (Disk replication) 설정1 포스팅에 이어서 진행합니다. 2022.09.18 - [IT/lifekeeper] - Lifekeeper for Linux 이중화 설정 – 복제볼륨 (Disk replication) 설정1 Lifekeeper for Linux 이중화 설정 – 복제볼륨 (Disk replication) 설정1 Active – Standby 구조로 이중화된 시스템에서 Active 서버에서 장애가 발생할 경우 Standby 서버에서는 장애발생 직전 최종 데이터로 DB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justdaily.tistory.com 이 포스팅은 아래의 버전에서 테스트한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하였.. 2022. 9. 19.
Lifekeeper for Linux 이중화 설정 – 복제볼륨 (Disk replication) 설정1 Active – Standby 구조로 이중화된 시스템에서 Active 서버에서 장애가 발생할 경우 Standby 서버에서는 장애발생 직전 최종 데이터로 DB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공유 볼륨을 Active, Standby 서버에 모두 연결한 상태로 Active 서버에서만 볼륨을 마운트 해 사용하고 장애 발생 시 해당 볼륨을 Standby 서버에서 마운트 하여 DB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방식으로 이중화 구성을 합니다. Lifekeeper 에서는 공유 스토리지를 이용한 공유 볼륨 방식 외에 Active – Standby 서버에 Local disk 각각 추가하고 해당 disk를 실시간 복제 볼륨으로 구성하는 방식을 추가 지원합니다. 이러한 Local disk 복제 방.. 2022. 9. 18.
반응형